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전국민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.
민생회복 소비쿠폰 선정 기준은 크게 아래 네 가지 핵심 요소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:
1. 전국민 보편 지급 + 소득·계층에 따른 차등 지원
-
1차 지급 (7월 중순 예정): 모든 국민에게 15만원 기본 지급
-
소득·계층별 추가 지급
-
기초생활수급자: 40만원 (기본 15만원 + 취약계층 25만원)
-
차상위계층 및 한부모 가정: 30만원 (기본 15만원 + 15만원 추가)
-
일반 국민(소득 하위 90%): 15만원 기본 + 10만원 추가 = 25만원
2. 소득 상위 10% 제외 (2차 지급 대상 아님)
-
건강보험료 납부액 기준으로 **상위 10%**를 선정
-
직장가입자는 약 연봉 7,700만원 이상, 지역가입자는 보험료와 함께 재산 기준도 적용
-
상위 10%는 1차 15만원만 받고, 2차 10만원 추가 지급에서 제외됩니다
3. 농어촌 등 인구감소지역 추가 지급 (+2만 원)
-
인구감소 우려 84~89개 시군구(예: 봉화, 강화 등) 거주자는
1인당 +2만 원이 추가 지급됩니다
4. 미성년자·신생아 포함, 장기 해외체류자 제외
-
신생아도 미성년자까지 포함하여 전국민에 포함
-
단, 장기 해외 체류자 등 소비 촉진 효과가 낮은 경우는 제외될 수 있습니다
✅ 기준 정리 표
대상 조건 | 지급 금액 |
---|---|
전 국민 | 기본 15만원 |
기초생활수급자 | 40만원 (15 + 25) |
차상위계층·한부모 가정 | 30만원 (15 + 15) |
일반 국민 (하위 90%) | 25만원 (15 + 10) |
농어촌·인구감소지역 주민 | +2만원 추가 |
소득 상위 10% | 1차 15만원만 지급, 2차 제외 |
지급 시기 및 방식 개요
-
1차 지급: 7월 중순(국회 추경 통과 후 2주 내)
-
2차 지급: 8월 중순, 하위 90% 대상으로 추가 10만원 지급
-
지급 방식은 지역사랑상품권, 선불카드, 신용·체크카드 중 선택 가능
이처럼 소득, 계층, 거주지역이라는 세 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지급 대상과 액수가 결정됩니다.
0 댓글